무지개는 어떻게 만들어 질까요? - 아이에게 이야기로 쉽게 설명하기

시작하기

이번 게시글에서는 일상 생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자연 현상 중 하나인 무지개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할 것입니다. 무지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, 그리고 왜 일정한 색상으로 나타나는 것인지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.
그럼 아빠와 아이의 대화를 통해 조금 더 알기 쉽게 설명해볼까요?

무지개는 어떻게 만들어 질까요?
무지개는 어떻게 만들어 질까요? 

아이에게 쉽게 설명하기 

아이: 아빠, 오늘 비가 왔었는데 무지개가 보여서 신나요! 무지개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?

아빠: 응, 무지개는 신기한 자연 현상 중 하나야. 무지개는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 만들어져. 비가 내리면 빛은 비를 통해 흘러들어가며 굴절되는데, 이 때, 빛의 색깔마다 굴절되는 정도가 달라..!

아이: 빛이 굴절되는 거예요? 굴절이 뭐에요?? 빛은 어떻게 굴절되나요?

아빠: 빛은 공기와 같은 물질을 통과할 때 일정한 속도로 직선으로 흐르지만, 다른 물질로 흐를 때는 속도가 달라지면서 굴절하게 돼. 굴절은 앞으로 가다가 꺾이면서 방향이 바뀐다고 이해하면 돼.


아이: 그렇다면 무지개의 색깔은 빛의 색깔에서 나오는 거예요?

아빠: 그렇지. 무지개의 색깔은 빨강, 주황, 노랑, 초록, 파랑, 남색, 보라 7가지 색깔로 이루어져 있는데, 이는 빛의 색깔과 일치해. 이렇게 나뉜 빛들이 비를 통과하면서 다시 한 번 굴절되고, 또다시 반사되면서 무지개를 만들어내게 되는거야. 이 때, 빛의 파장에 따라 휘어지는 정도 달라져서 빛이 색깔별로 나뉘게 되는 거야.

빛의 굴절
빛의 굴절
아이: 그러면 왜 무지개는 빨주노초파남보 순서대로 색깔이 나오나요?

아빠: 그건 빛의 색깔의 파장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야. 파장은 빛이 '한 걸음에 갈 수 있는 길이'라고 생각하면 돼. 빨간색은 파장이 가장 길고, 보라색은 가장 짧지. 그래서 빛를 통과하며 굴절되고 반사되면서 빛의 파장 길이 순서대로 나뉘어져서 빨주노초파남보 무지개를 만들게 되는거야.

아이: 아빠, 그럼 무지개가 왜 원형이 아니라 아치 모양으로 나오나요?

아빠: 그건 빛이 비를 통과할 때 한 번 더 굴절되기 때문이야. 비 내리는 구름 안에서 빛은 여러 번 반사되고 굴절되면서 무지개를 만들어내는데, 이 때 빛이 아치 모양으로 굴절되어 나오는 거야. 

아이: 그런데, 비 내리는 날에는 무지개를 볼 수 있는데, 왜 맑은 날에는 무지개를 못 볼까요?

아빠: 그건 맑은 날은 빛이 구름과 같은 물체를 통과할 때 한 번만 굴절되기 때문이야. 구름이 없으면 빛은 지구 대기를 통과할 때 한 번만 굴절되고 반사되기 때문에 무지개를 만들 수 없단다. 

아이: 알겠어요! 무지개는 비 내리는 날에만 볼 수 있고, 빛이 굴절되고 반사되면서 일정한 색깔의 순서대로 아치 모양으로 나오는 거네요!

아빠: 그래요, 잘 이해했네. 이렇게 무지개는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연 현상 중 하나인데, 자연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면 더욱 흥미로워질거야.

아이: 그래요! 다음에도 더 많은 것을 배워보고 싶어요!

아빠: 좋아요, 다음에도 함께 배워보면서 자연 현상을 더 재미있게 이해해보자!!

마무리

무지개는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 만들어지며, 빛의 색깔에 따라 일정한 순서대로 색깔이 나뉘어집니다. 비 내리는 구름 안에서 빛은 여러 번 반사되고 굴절되면서 아치 모양으로 나오게 되기 때문에 맑은 날에는 무지개를 볼 수 없습니다.
자연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면 더욱 흥미로워진다는 사실 기억하세요!


다음 이전

POST ADS 2